YTN서울타워(남산타워)
N서울타워
좌표: 37°33′5.13″N 126°59′16.80″E / 37.551425°N 126.988°E
![]() | |
정보 | |
---|---|
위치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 2가 1-3 |
상태 | 완공 |
기공식 | 1969년 |
건축 | 1969년 - 1975년 |
완공 | 1975년 7월 30일 |
높이 | |
안테나/첨탑 | 236.7m |
회사 | |
건축가/건축회사 | 장종률 |
N서울타워(엔서울타워, N Seoul Tower, Nソウルタワー)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 2가 남산 공원 정상 부근에 위치한 관광 및 전파 송출용 탑이다. 1969년에 착공하여 1975년 7월 30일 완공되었다. 높이는 236.7 미터, 해발 479.7 미터이다. 전망대에서 서울 시내 전역을 내려다 볼 수 있으며, 맑은 날씨에 찾는 관광지로 잘 알려져 있다. 남산에 있어서 남산타워라고도 불린다. 행정안전부에 등록된 정식 명칭은 "YTN서울타워"이다.[1]
탑이 세워진 곳은 원래 조선신궁이 있었던 자리로, 철거하면서 공터로 있다가 안전기획부 청사 등이 세워지면서 같이 세워진 것이다.
목차[숨기기] |
[편집] 연혁
조선 시대, 남산 팔각정 옆에는 봉수대가 있었다. 1961년 12월, 남산에 전파송신을 위한 75m 탑이 세워졌고,[2] 이어서 세워진 송신탑들이 봉수대의 위치를 차지했다.
1969년 12월, 이들을 대체하기 위해 남산의 현재 위치에 종합송신소를 위한 220m의 송신탑을 세울 계획을 민방협에서 발표하였다.[3] 당시 3개 민간방송의 합작 투자로 설립된 남산타워는 총 233m, 해발 고도 490m로 동양에서 가장 높다고 선전되었다.[2]
남산타워는 건축가 고 장종률씨가 설계한 작품으로 내부 시설은 갖추어지지 않은 채로 1971년 12월 3일에 완공되었고, 1975년 8월까지 3층의 전망대와 방송국 송신실, 박물관, 공개홀, 기념품점 등이 들어섰다.[4] 완공 후 체신부에서 인수하여 전망대 사용을 금지하다가 1980년 10월 15일, 처음으로 일반에 개방하였고,[5] 이후 서울의 명소로 자리잡았다.
뉴스 전문 방송국 YTN이 1999년 12월, 체신공제조합으로부터 인수하였다. 2005년 4월 YTN이 CJ그룹 산하 CJ엔시티에 개·보수 계약을 맺었고, 그 해 12월 공사가 완료되어“서울타워”에서 “N서울타워”(정식 이름은 “YTN서울타워”)로 이름을 바꾸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1]
[편집] 시설
전파 송출용 시설뿐 아니라, 전망대, 식당, 전시관, 기념품점, 카페 등이 설치되어 있다. 전망대 부분에 위치한 식당은 바닥이 48분마다 360°회전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 T1: 뷔페식 한식당 '한쿡'이다. 이곳에서는 서울 시내까지만 보인다.
- T2: 아날로그 전망대, 하늘 화장실, 하행 엘리베이터가 있다.
- T3: 디지털 전망대, 상행 엘리베이터가 있다.
- T5: 양식당이며 이곳에서는 개성과 인천의 관측도 가능하다.특히 이곳은 48분당 한바퀴를 도는 형태로 되어있다.
[편집] 층별 구성
N서울타워의 층수는 P0, P1, P2, EZ, T1, T2, T3, T5로 되어있다. P는 플라자의 약자이며 출입구와 약간의 상가로 구성되어있다. EZ는 익스프레스 존의 약자이며 흰색 기둥부분을 가리킨다. T는 타워의 약자이며 전망대와 스낵코너, 그리고 식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편집] 촬영
- 2002년 드라마 "명랑소녀 성공기"
- 2005년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
- 2007년 드라마 "마녀 유희"
- 2009년 드라마 "꽃보다 남자"
- 2009년 시트콤 "지붕 뚫고 하이킥" 1화 외 다수
- 2009년 오락 프로그램 "무한 도전" 159회 여드름 브레이크 편 외 다수
- 2009년 영화 "홍길동의 후예"
- 2010년 드라마 "제빵왕 김탁구" 17화
- 2010년 오락 프로그램 "런닝맨" 6회 (일요일이 좋다 138회)
[편집] 사진
[편집] 교통
N서울타워는 2005년말 자가용이나 트럭의 출입을 통제하였다. 2010년 현재는 현장학습이나 단체관광용, 그리고 02번, 03번, 05번 순환 (노랑색) 버스를 사용할 수 있다. 남산 공원에 위치하여 남산 케이블카나 산책길을 이용할 수도 있다.
[편집] 대중교통편 (서울 기준)
[편집] 지하철 이용 시
- 3호선 동대입구역 6번 출구에서 서울시내버스 (남산순환버스) 02번 환승. 남산N서울타워 하차
- 4호선 충무로역 2번 출구에서 서울시내버스 (남산순환버스) 02번 환승. 남산N서울타워 하차
- 4호선 명동역 3번 출구에서 중국 영사관 방면으로 약 10분간 도보 후 남산 오르미, 남산 케이블카 이용
추가자료
N서울타워
서울시의 중심인 중구(中區) 남산동(南山洞) 남산도시자연공원의 정상에 세워진 철탑으로 행정구역 상으로는 서울시 용산구 용산동에 속한다.
N서울타워, the center of Seoul, built on top of Namsan mountain.
대한민국 수도 서울의 공간적 중심이자 상징적인 랜드마크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Capital, Seoul, Republic of Korea and the spatial center is to serve as iconic landmarks.
2005년 남산타워를 N서울타워로 개칭하며 개보수하여 새로운 개념의 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하였다. 남산의 자연과 21세기 첨단기술이 만들어내는 절묘한 조화로움을 제공하는 휴식공간이자 문화복합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N Seoul Tower that renamed as the new concept renovated in 2005 and was reborn as a cultural space. nature of Namsan and technology of the 21st century produce exquisite harmony, so many people visit here to spend free time.
New Namsan- N서울타워, 정식이름- YTN서울타워.
개설서울 남산전파탑을 줄인 명칭으로, 남산타워라고도 한다. 대지 8,456㎡에 연건평 1만5378㎡에 이르며, 해발고도 479.7m 상에 위치해 있다.
탑 자체의 높이는 236.7m로 세계에서 모스크바타워(해발고도 537m) 다음으로 높은 탑이다. 1969년 8월 동양·동아·문화방송 등 3개 민영방송국이 공동으로 종합전파시설 및 관광전망대 시설허가를 받아 1975년 8월 완공하였다. 준공 3개월 뒤 체신부가 인수하여 보안상 일반에게 공개하지 않다가, 1980년 10월부터 공개되었다. 2000년 뉴스 전문 텔레비전 방송국 YTN이 인수한 후 2005년에 개보수하여 “N서울타워”(정식 이름은 “YTN 서울타워”)로 개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그 외에도 테디베어뮤지엄, N레스토랑, N쇼핑 등의 볼거리와 먹을거리를 제공하는 편의시설이 갖추어졌으며, 최근에는 젊은 세대를 겨냥한 마케팅으로 이벤트N을 통한 음악회와 러브페스티벌, 사랑의 자물쇠 행사 등이 연중무휴 기획되고 있다. In addition, there are many things such as Teddy Bear Museum, N Restaurant, and N shopping facilities.
새로운 세기, 새롭게 변신한 n서울타워는 남산에 위치한 팔각정과 서울성곽, 식물원,·케이블카 등과도 산책로로 연결되어 시민과 관광객에게 서울의 자연과 문화경관을 조망하며 즐기는 휴식공간이자 문화복합공간이며 서울의 상징으로서 발돋움하고 있다.
In the new century, Seoul Tower, the newly turned in Namsan connected by a walkway with Seoul Fortress, pavilion, botanical gardens, and cable cars, etc.,
2001년 전망대 관광객 수가 2000만명을 돌파하였으며, 공개시간은 오전 10시∼오후 11시까지이고 연중무휴로 개방되어 있다.